목차 일부
[한글] 목차
제1장 새로운 병원
1. 근대 병원의 성립 = 9
1) 역사적 전개 과정 = 9
2. 병원의 발달 = 10
1) 병원의 개념 = 10
(1) 의료법상의 정의 = 11
(2) 세계보건기구의 정의 = 11
2) 병원의 분류 = 12
(1) 설립운영주체에 따른 분류 = 12
(2) 진료의 내용이...
목차 전체
[한글] 목차
제1장 새로운 병원
1. 근대 병원의 성립 = 9
1) 역사적 전개 과정 = 9
2. 병원의 발달 = 10
1) 병원의 개념 = 10
(1) 의료법상의 정의 = 11
(2) 세계보건기구의 정의 = 11
2) 병원의 분류 = 12
(1) 설립운영주체에 따른 분류 = 12
(2) 진료의 내용이나 특성에 따른 분류(보건복지부 통계연보) = 12
(3) 의학교육기능의 범위에 따른 분류(전문의의 수련 및 자격 인정 등에 관한 규정) = 13
(4) 경영목적의 영리성에 따른 분류 = 13
(5) 의료제공체계 내에서의 역할에 따른 분류(전국보건의료망 편성을 위한 연구) = 13
3) 우리나라 병원의 역사 = 14
(1) 대한제국시대(1885∼1910년) = 15
(2) 일본통치시대(1910∼1945년) = 15
(3) 대한민국 수립초기(1945∼1969년) = 16
(4) 병원의 성장기(1970∼1990년) = 18
(5) 1990년대 이후 = 18
4) 근대병원의 기능 = 19
(1) 상병자의 뒷바라지 = 19
(2) 건강의 증진 = 20
(3) 의학연구의 추진 = 20
(4) 의사, 간호사, 기타의 교육 = 21
3. 병원관리의 개념 = 23
1) 병원관리의 의미 = 23
2) 병원관리자의 역할 = 24
3) 병원관리학 교육 = 26
(1) 일본 = 27
(2) 한국 = 28
4. 근대병원 운영의 나아가야 할 방향 = 29
제2장 관리론
1. 경영관리론의 발달 = 31
1) 과학적관리의 기원 = 31
2) 과학적관리의 원리 = 32
3) 테일러 이후의 발달 = 34
2. 근대관리의 병원조직에의 전개 = 36
1) 계획 = 36
2) 조직 = 37
3) 동기 = 38
4) 협조 = 39
5) 평가 = 39
제3장 조직론
1. 조직의 원리 = 41
1) 조직론의 발달 = 41
2) 조직의 종류 = 41
(1) 라인조직 = 42
(2) 라인·스탭조직 = 44
(3) 사업부제조직 = 47
3) 조직의 원칙 = 47
(1) 조직과 목적 = 47
(2) 전문화와 분업 = 48
(3) 명령의 통일 = 48
(4) 계층 = 48
(5) 권한과 책임 = 50
(6) 예외의 원칙 = 51
(7) 통제의 한계 = 52
2. 병원의 조직 = 53
1) 병원조직의 구성부문 = 53
2) 병원의 조직도 = 54
3) 병원에서의 라인과 스탭 = 57
4) 위원회제도 = 58
5) 진료 팀 = 59
6) 의사와 간호사의 관계 = 60
7) 주치의 = 61
제4장 인간관계
1. 인간관계론의 등장 = 65
1) 호오손공장의 실험 = 65
2) 근로의욕 = 67
2. 일본의 고용관계의 특징 = 68
3. 병원에서의 인간관계 = 71
1) 의사 = 71
(1) 병원관리자와의 관계 = 71
(2) 타직종과의 관계 = 72
2) 간호사 = 73
(1) 병원관리자와의 관계 = 73
(2) 타직종과의 관계 = 74
3) 의료기사 = 75
(1) 병원관리자와의 관계 = 75
(2) 타직종과의 관계 = 75
4) 사무원 = 75
(1) 병원관리자와의 관계 = 75
(2) 타직종과의 관계 = 76
5) 병원관리자 = 77
4. 동기부여와 교육훈련 = 78
1) 참가시킴 = 78
2) 교육훈련 = 78
제5장 병원윤리
1. 공익성 = 82
2. 품질의 보장 = 83
3. 안전성 = 84
제6장 병원의 업무
1. 진료부문 = 87
1) 입원진료 = 87
2) 외래진료 = 88
3) 응급진료 = 90
4) 공중위생에의 협력 = 90
2. 중앙진료시설부문 = 91
1) 방사선과 = 92
(1) 기능과 향후 진로 = 92
(2) 업무의 개선 = 94
2) 임상병리실 = 95
(1) 성립 = 95
(2) 업무 = 96
(3) 바람직한 방안 = 96
(4) 수혈부 = 97
3) 마취부 = 98
(1) 성립과 업무 = 98
(2) 바람직한 방안 = 98
(3) 중앙수술실 = 99
4) 재활의학과 = 100
(1) 성립과 본질 = 100
(2) 바람직한 방안 = 101
3. 간호 부문 = 102
1) 업무 = 102
2) 바람직한 방안 = 103
3) 중앙멸균재료실 = 105
4. 약제 부문 = 106
1) 업무 = 106
(1) 조제 = 106
(2) 제제 = 106
(3) 의약품의 보급 = 107
(4) 시험연구 = 107
2) 바람직한 방안 = 107
5. 급식 부문 = 109
1) 업무 = 109
2) 바람직한 방안 = 110
6. 의료사회사업 부문 = 111
1) 성립 = 111
2) 본질과 바람직한 방안 = 112
7. 의무기록 부문 = 114
1) 진료기록의 가치 = 114
2) 의무기록실의 기구와 업무 = 116
8. 관리부문 = 120
1) 총무과 = 121
2) 기획실(기획관리실) = 121
3) 인사과 = 122
4) 경리과 = 122
5) 관리과 = 122
6) 원무과 = 123
9. 시설 부문 = 123
1) 기계 운전 = 123
2) 시설의 보전과 수리 = 124
10. 하우스키핑 부문 = 125
제7장 업무의 합리화
1. 지시의 전달 = 127
2. 표준화 = 129
3. 기계화 = 131
4. 새로운 관리기술 = 133
1) 워크·샘플링 = 133
2) 품질관리(quality control) = 134
3) 가치분석(value analysis) = 137
제8장 병원의 재무와 채산성
1. 병원회계준칙의 제정 및 재무제표 = 141
2. 손익분기점 분석 = 142
제9장 원내 감염의 관리
1. 병원에서의 감염의 문제 = 153
2. 감염관리의 조직 = 155
3. 감염원과 그 대책 = 156
4. 감염경로와 그 대책 = 157
1) 접촉에 의한 감염 = 157
2) 전염체에 의한 감염 = 158
3) 전염동물에 의한 감염 = 159
4) 공기 경로에 의한 감염 = 159
5. 감수성에 대한 대책 = 161
제10장 의료평가
1. 의료의 평가 = 163
2. 의료행위 평가를 위한 객관적 인자 = 165
1) 평균병상이용률 = 165
2) 평균입원일수 = 166
3) 결과의 개황 = 167
4) 원내사망률 = 167
(1) 원내사망률 = 167
(2) 원내 수술후사망률 = 168
(3) 원내 신생아사망률 = 168
5) 부검율 = 169
6) 협의진단율 = 169
7) 감염율 = 170
8) 합병증 발생률 = 170
9) 불필요한 수술 = 170
참고문헌 = 171
부록 = 175
찾아보기 = 209
INDEX = 216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