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한글] 목차
휘호(揮毫) 취암(醉巖) 이 재서(李載瑞)
휘호 자유 중국 가 월파(賈月波)
휘호 목재(牧齋) 이 배원(李培遠)
축 기념품 남운(南雲) 김 용(金龍)
등록필증(登錄畢證)
서문(序文) : 새 학설로 경이적 성과/권 이혁(權彛赫) = 15
추천사(推薦辭) : 정축론(正軸論)의 양심서 / 민 관식(閔寬植) = 18
간행사(刊行辭) :...
목차 전체
[한글] 목차
휘호(揮毫) 취암(醉巖) 이 재서(李載瑞)
휘호 자유 중국 가 월파(賈月波)
휘호 목재(牧齋) 이 배원(李培遠)
축 기념품 남운(南雲) 김 용(金龍)
등록필증(登錄畢證)
서문(序文) : 새 학설로 경이적 성과/권 이혁(權彛赫) = 15
추천사(推薦辭) : 정축론(正軸論)의 양심서 / 민 관식(閔寬植) = 18
간행사(刊行辭) : 정축론의 위상(位相) = 22
제1편 지구의(地球儀) = 39
제1장 총론(總論) = 41
제2장 지구(地球)의 위치(位置) = 43
제1절 천동설(天動說) = 43
가) 천동설(天動說)과 태양(太陽) = 44
나) 태양의 고저(高底) = 44
제2절 지동설(地動說) = 45
가) 지구의(地球儀)에 나타난 규정과 그 제도 = 46
1. 경도선(經度線) = 47
2. 위도선(緯度線) = 47
나) 지구 표면(地球表面)에 나타나는 현상(現象) = 49
1. 기후(氣候) = 49
2. 조수(潮水) = 51
3. 지구력(地球力)과 수포(水泡)의 변동(變動) = 51
4. 낮과 밤 = 52
5. 성좌(星座) 운행(運行)과 그 출몰(出沒) = 52
제3절 관측 기구(觀測器具) = 54
가) 기점(基點) = 54
나) 방위(方位) = 56
1. 태양 그림자(日晷)로 정하는 법(法) = 56
2. 지남철(指南鐵)을 이용하여 정하는 법(法) = 57
제3장 4철의 지구 궤도(地球軌道) = 60
제4절 조사 분석(調査分析) = 60
가) 4철의 지구 궤도 시험도 분석(試驗圖分析) = 60
1. 지축이 지향하는 방향(方向) 측면도(側面圖) = 61
2. 지축이 지향하는 방향(方向) 평면도(平面圖) = 63
3. 지축이 궤도 위에서 위치가 바뀜에 따라 변하는 모양(貌樣) = 64
제4장 결론(結論) = 69
제5절 천동설(天動說)과 지동설(地動說)의 학설적(學說的)인 내용 미비점(內容未備點) = 69
제6절 지구 궤도(地球軌道)의 불확실(不確實)과 의문 속의 황도(黃道) = 70
제7절 4철의 지구 위치 명칭 정리 = 71
제8절 4철이 생기는 이유 = 71
제2편 천동설(天動說)·지동설(地動說)의 별동이(別同異) = 73
제1장 총론(總論) = 75
제2장 천체 관측(天體觀測)과 조사 목표(調査目標) = 77
제1절 목표 설정(目標設定) = 77
가) 지구 위치(地球位置) = 78
1. 천동설(天動說) 기준(基準)에서의 지구 위치(地球位置) = 78
2. 지동설(地動說) 기준(基準)에서의 지구 위치(地球位置) = 80
나) 궤도 관측(軌道觀測) = 82
1. 황도(黃道) = 82
2. 지구 궤도(地球軌道) = 84
3. 달의 궤도(月球軌道) = 84
다) 방위 명칭(方位名稱)과 기준 위치(基準位置) = 86
라) 기점(基點) = 87
1. 관측 기점(觀測基點) = 87
2. 종합 기점(綜合基點) = 88
A. 지구 중심(地球中心) = 88
B. 태양계(太陽界) 중심 기점(中心基點) = 90
제2절 기록(記錄)과 표시 방법(表示方法) = 91
가) 별자리 그림(天文圖) = 91
1. 별자리(星座) = 91
2. 표기 방법(表記方法) = 91
나) 방위 표기(方位表記) = 93
제3장 관측(觀測)과 조사 분석(調査分析) = 96
제3절 4철의 지구 궤도(地球軌道) = 96
가) 책상 실험 = 96
나) 지축(地軸) = 97
제4절 관측(觀測)과 분석(分析) = 97
가) 관측 = 97
나) 관측 결과 분석 방법 = 99
다) 분석(分析)-A = 100
1. 제1차원 관측 = 100
2. 제1차원 분석(Ⅰ) = 102
3. 제1차원 분석(Ⅱ) = 104
4. 제1차원 분석(Ⅲ) = 108
라) 분석(分析)-B = 110
1. 제2차원 분석(Ⅰ) = 110
마) 분석(分析)-C = 113
1. 제3차원 분석(Ⅰ) = 113
2. 제3차원 분석(Ⅱ) = 116
3. 제3차원 분석(Ⅲ) = 119
4. 제3차원 분석(Ⅳ) = 126
제5절 태양(太陽)과 지구와의 거리(距離) = 129
가) 지구(地球)와 태양과의 거리 = 129
1. 항성각(恒星角)과 1억 5천만 킬로미터 = 129
2. 천적도선(天赤道線)을 기준한 지구의 남하 북상(南下北上) 유동(流動)거리 = 131
3. 원일점(遠日點)과 근일점(近日點)의 차이 거리 = 131
4. 교재(敎材)에 나타난 원일점(遠日點)·근일점(近日點) 분석 = 134
제4장 결론(結論) = 137
제6절 지구는 기울지 않았다 = 137
제7절 천적도선(天赤道線)에 준(準)해 기운 지구궤도(地球軌道) = 138
제8절 명확히 정리되는 황도(黃道) = 138
제9절 방위 명칭(方位名稱) = 139
부록편
증언·타당성 지닌 외로운 목소리 / 서 정기(徐正淇) = 143
천문학(天文學) 체계(體系)와 사상적(思想的) 의미(意味) / 최 병철(崔秉喆) = 152
정축선(正軸璿) 문징록(文懲錄) 발췌 1966∼80 = 165
한국 천문학회 심사 보고서 = 176
심축 귀정 선언서(心軸歸正宣言書) = 180
학설과 연구 결론 비교표 = 186
종합 별자리 그림
槪要(Summury) = 19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