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한글] 목차
序文
추천의 글
제 1 장 統一論議와 統合理論 = 13
1. 序論 = 13
2. 硏究의 目的 : 韓國統合의 當爲性 = 18
가. 國內的 要因 = 18
나. 國際的 要因 = 20
3. 南北韓 統一政策과 統合理論 = 21
가. 주요개념의 定意 = 21
나. 韓國에서의 統一政策의 變化 = 22
다. 統合理...
목차 전체
[한글] 목차
序文
추천의 글
제 1 장 統一論議와 統合理論 = 13
1. 序論 = 13
2. 硏究의 目的 : 韓國統合의 當爲性 = 18
가. 國內的 要因 = 18
나. 國際的 要因 = 20
3. 南北韓 統一政策과 統合理論 = 21
가. 주요개념의 定意 = 21
나. 韓國에서의 統一政策의 變化 = 22
다. 統合理論과 統合硏究에의 기여 = 26
라. 어떤 統一이어야 하는가 = 28
마. 어떤 상황에서 統一은 가능한가 = 29
바. 統合硏究의 추이 = 30
제 2 장 韓半島分斷의 起源 = 33
1. 序論 = 33
2. 日本에 의한 韓國의 합병 = 34
3. 韓國의 獨立運動 = 36
4. 解放과 38선의 分斷 = 38
5. 美國 占領下의 南韓 = 42
6 蘇聯 占領下의 北韓 = 45
7. 美·蘇 共同委員會 = 46
8. 유엔으로의 韓國問題 이관 = 49
9. 두개의 政府 탄생 = 50
10. 結論 = 52
제 3 장 南北韓의 統一政策 比較 = 55
1. 序論 = 55
2. 南北韓 政府樹立 이후의 統一論議와 韓國戰爭 = 56
가. 政府樹立 이후부터 韓國戰爭 발발 이전까지 = 56
나. 韓國戰爭 = 60
다. 休戰會談 = 63
라. 韓國戰爭과 兩極體制의 形成 = 65
3. 戰後 李承晩體制 몰락까지의 統一論議 = 66
가. 戰後 統一論議와 국제적 상황 = 66
나. 제네바會談 = 69
다. 제네바會談 이후 1960년까지의 統一論議 = 74
4. 제 2 공화국 시기의 統一論議 = 76
가. 南韓의 입장 = 77
나. 北韓의 입장 = 80
5. 1960년대의 統一論議 = 84
가. 南韓의 입장 = 85
나. 北韓의 입장 = 87
6. 1970년대의 統一論議 = 92
가. 國際狀況의 變化 = 92
나. 南北對話 = 93
다. 南北韓의 核心的 平和提議 = 101
7. 제 5 공화국 시기의 統一論議 = 109
8. 제 6 공화국의 統一論議 = 118
9. 結論 = 124
제 4 장 國際統合理論의 分析 = 127
1. 序論 = 127
2. 統合理論의 槪觀 = 128
가. 多元主義的 接近方法(The Pluralistic Approach) = 128
나. 機能主義的 接近方法(The Functionalist Approach) = 133
다. 新機能主義的 接近方法(The Neo-Functionalist Approach) = 137
라. 聯邦主義的 接近方法(The Federalist Approach) = 146
3. 韓國統合의 可能性 = 152
4. 結論 = 164
제 5 장 結論 : 韓國의 統合 = 16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