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전자저널, 전자책, 학위논문, 멀티미디어 등을
가나다순 또는 주제별로 이용
Search it, Browse it, and Find it!
도서관에서는 연세 구성원의 효율적인 학습과 연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학술정보교육, 리서치가이드, 논문 작성 지원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업계획서에 수록된 교재와 참고문헌 등의
학술정보를 쉽게 검색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Your Research Partner, Yonsei University Library !
[원서명] : On the origin of species by means of natural selection
[저자(영문)] : Darwin, Charles, 1809-1882
[해제] 다윈은 1809년 2월 영국의 슈루스베리에서 조부와 부친을 의사로 둔 가정에서 태어났다. 케임브리지대학 재학 중 박물학에 흥미를 느끼다가 졸업 후 영국 해군의 비글(Beagle)호에 박물학자로 승선하여 남미 및 호주 등 태평양의 여러 섬을 일주하면서 동식물과 지질을 관찰함으로써 생물 진화의 단서를 얻었다. 만년에 이르러 <종의 기원>의 집필을 몰두하던 중 1858년 6월 뜻하지 않은 사건이 발생한다. 말레이 군도 인근에서 다윈처럼 동식물 관찰을 하던 월리스(A. R. Wallace)라는 인물이 자연도태에 기초를 둔 진화론이 기술된 논문을 보내온 것이다. 이리하여 두 사람의 논문은 같은 해 7월 런던의 린네 학회 석상에서 동시에 발표되었다. 이리하여 최초로 자연도태설이 공표되는 것이다.
18세기 다윈에 의해 확립된 진화론은 과학사의 일대 전환점이었다. 그리고 <종의 기원>은 생물 진화론의 체계를 확립한 저작으로 과학뿐만 아니라 사상사 전체를 통틀어 획기적 고전의 하나로 평가된다. 다윈은 진화의 근본 요인을 설명하기 위해 자연도태설을 제창하였으며 이 학설은 아직도 현대 집단 유전학의 기초를 이루고 있다.
<종의 기원>의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사육하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변이를 논하고 있다. 우리는 여기서 유전적 변화가 많이 일어나고 있음을 볼 수 있고, 더 나아가 선택에 의해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조그만 변이들을 누적시키는 능력이 인간에게 얼마나 위대한 작용을 미치는가를 살필 수 있다. 둘째, 자연 생태에서의 종들의 변이성을 설명하고 있다. 생물들 사이의 생존경쟁이라는 것이 그것이다. 각각의 종에서 살아 남을 수 있는 개체보다 훨씬 많은 수가 태어나고, 그 결과 생존경쟁이 일어나며, 특정한 개체는 자신에게 유리한 방식으로 약간의 변화를 통해 살아 남을 가능성이 높이게 되어 최종적으로 자연히 선택되고 도태된다는 점이다.
이후 다윈은 종전의 계획을 축소, 1859년 11월 <종의 기원>을 단행본으로 간행하였다. 이 책의 원명은 <자연도태의 방법에 의한 종의 기원, 또는 생존 경쟁에 있어서 유리한 종족의 보존에 대하여>(On the Origin of Species by Means of Natural Selection)이다. 그리고 다윈의 <종의 기원>, 곧 진화론이라는 학설이 널리 일반에 수용되는 데까지는 100년이 넘게 걸렸다는 점은 흥미로운 사실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