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 소장자료, 온라인자료, 외부자료를 한번에 검색하여 유형별로 확인
소장자료 - 학술정보원에 소장된 인쇄자료와 직접 구축한 원문파일을 검색
전자자료 - 소장 인쇄자료, 온라인 전자자료를 한번에 검색
학술 데이터베이스나 저널, 학위논문, 멀티미디어 등을
가나다순 또는 주제별로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학생들의 학습과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학술정보원에서는 다양한 교육과
전공별 가이드, 연구 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업계획서에 수록된 교재와 참고문헌 등의
학술정보를 쉽게 검색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도서관 서비스 이용방법과 신청방법을 알려드립니다.
도서관 서비스 신청 양식을 한 곳에!
도서관을 어떻게 이용하는지 모르시나요?
하나부터 열까지! 도서관 이용 방법을 이곳에서 확인하세요.
About > Help에서 FAQ, 이메일 문의도 가능합니다.
나에게 도움되는 도서관 서비스를 알고 싶다면 이용자별
서비스를 확인해 보세요
도서관에서 구축하여 운영중인 다양한 온/오프라인
컬렉션을 확인해 보세요.
연세대학교 원주학술정보원 규정, 통계, 층별안내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서관 이용안내로도 해결이 안 된 문제는?
FAQ, 이메일 문의를 통해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신청 내역과 현황, 나의 개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서명] : Du contrat social
[저자(영문)] : Rousseau, Jean-Jacques, 1712-1778
[해제] 루소는 사회계약의 사상에 근거하여 개인과 사회 사이의 조화로운 관계를 찾으려고 했다. 루소는 자신의 저서를 통하여 지극히 광범위한 문제를 노하였으나 그의 일관된 주장은 ‘인간 회복’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인간을 회복하는 방법으로 루소는 초기에 문명에 대한 저주와 자연질서의 회복을 주장했다. 자연상태에서 인간은 자유롭고 행복하고 선했으나, 스스로가 만든 사회제도나 문화에 의하여 자유롭지 못하고 불행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다시 참된 인간의 모습을 발견하여 인간을 회복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그는 인간 본래의 모습을 손상시키고 있는 당대의 사회나 문화에 대하여 통렬한 비판을 가했다.
<사회 계약, 또는 정치권의 원리>라는 이름으로 1762년 네덜란드에서 출 판되었던 <사회계약론>에서 루소는 “왜 인간은 자유롭게 태어났으나 어디에서나 쇠사슬에 묶여 있고, 또 이것이 당연시되는가”라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루소는 개인이 자기 자신 이외에는 누구에게도 복종하지 않는 그런 계약을 맺어 국가를 수립해야 하고 이 국가가 계약의 의무에 충실하지 않는다면 해체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발전시켰다. 그렇게 되었을 때 국가는 개인의 자유를 지키는 존재가 되는데, 국가가 그런 실체가 될 수 있는 조건은 개인들 사아의 계약의 기반인 일반의지를 실현하는 것이다. 일발의지에 의해 국가가 형성되고 유지되면 국가는 본질적으로 공적인 이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국가 속에서 인간의 자유와 평등이 상실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국가가 인간을 도덕적인 실체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그의 정치사상은 근대 민주주의 사상의 밑바탕을 이루었으며, 특히 저항권에 근거한 그이 자유민권 사상은 프랑스 혁명의 사상적 근원이 된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