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 소장자료, 온라인자료, 외부자료를 한번에 검색하여 유형별로 확인
소장자료 - 학술정보원에 소장된 인쇄자료와 직접 구축한 원문파일을 검색
전자자료 - 소장 인쇄자료, 온라인 전자자료를 한번에 검색
학술 데이터베이스나 저널, 학위논문, 멀티미디어 등을
가나다순 또는 주제별로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학생들의 학습과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학술정보원에서는 다양한 교육과
전공별 가이드, 연구 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업계획서에 수록된 교재와 참고문헌 등의
학술정보를 쉽게 검색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도서관 서비스 이용방법과 신청방법을 알려드립니다.
도서관 서비스 신청 양식을 한 곳에!
하나부터 열까지! 도서관 이용 방법을 확인하세요.
나에게 도움되는 도서관 서비스를 확인하세요.
도서관에서 구축하여 운영중인 다양한 온/오프라인
컬렉션을 확인해 보세요.
연세대학교 원주학술정보원 규정, 통계, 층별안내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서관 이용안내로도 해결이 안 된 문제는?
FAQ, 이메일 문의를 통해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신청 내역과 현황, 나의 개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서명] : Kritik der reinen Vernunft
[저자(영문)] : Kant, Immanuel, 1724-1804
[해제] 선천적 종합판단이 어떻게 가능한가 하는 문제를 통해,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의 상징인 인간 인식 능력 자체를 깊이 탐구한 저서가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이다. 그러한 인식은 경험에 의존하지 않고 따라서 순수하다. 이성이 그와 같은 순수 인식을 지향하는 한 순수 이성이라 불리는 것은 당연하며, 순수 이성의 원천과 타당 범위를 연구하려는 저술은 마땅히 순수 이성 비판이라 불리는 것이다, 앞서 제시된 질문의 결론부터 말하자면, 우리의 공간적 및 시간적 지관에 의해 시 . 공간적인 관계가 선천적으로 부여되고(파악 방법), 이것이 우리의 범주에 의해 선천적으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결합 방법).
한편 학문으로서의 형이상학의 가능성을 믿었던 칸트는, 인식의 대상이 아닌 본체(Noumena)가 일반적으로 의미를 가지는 이유를 연구하기에 이른다. 영혼, 세계 그리고 신이라는 세 개의 이념에 대한 논의는 이성의 이념이 그 대상이 되는 선험적 변증론에서 다루어진다. 여기서 이념은 구성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따라서 이념에 의한 대상 인식은 가능하지 않다. 이렇게 되면 학문으로서의 형이상학은 불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해 칸트는 이념이 절대 필수의 통제적 사용을 갖는다고 말한다. 즉 오성을 규제하여 일정한 목표로 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비로소 오성 개념은 더욱 높은 통일을 이루게 된다는 것이다.
우리의 인식의 체계적 관련, 이것이야말로 이념에 의해 얻어진 이성의 성과인 셈이다. 예컨데, 영혼은 모든 심리적 현상의 통일을, 세계는 현상의 무한한 계열의 무제약적 통일을, 그리고 신은 존재하는 모든 것에 대해 최초의 필연적 원인을 체계적으로 확보하는 것이다. 대체로 험준한 산에 비유되는 이 책은 꼼꼼하게 도식을 그려가며 읽는 편이 독자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