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데이터베이스나 저널, 학위논문, 멀티미디어 등을
가나다순 또는 주제별로 찾아볼 수 있습니다.
Search it, Browse it, and Find it!
도서관에서는 연세 구성원의 효율적인 학습과 연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학술정보교육, 리서치가이드, 논문 작성 지원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업계획서에 수록된 교재와 참고문헌 등의
학술정보를 쉽게 검색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Your Research Partner, Yonsei University Library !
[원서명] : 牧民心書
[저자(한자)] : 丁若鏞
[해제] 이 책에서 조선 실학의 집대성자인 정약용(1762 ~ 1836)이 공무원들이 반드시 마음에 아로새겨야 할 것들을 구체적인 공무원의 임무와 아울러 기술하고 있다. 다산은 지식인의 학문은 자신을 수양하는 것과 백성들을 잘 기르는 일로 구성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에게 있어 수신과 목민은 둘이 아니라 동전의 양면과도 같은 것이다. 왜냐하면 구체적인 지식인으로서의 ‘나’는 백성들을 편안하게 하기 위해 수양이 되어 있어야 하며 또 지식으로서 ‘나’의 수양은 오직 백성들을 편안하게 하는 것으로 실현되기 때문이다. 수신의 측면이 유가 경전들에 대한 그의 방대한 실학적 주석 속에 나타나 있다면 목민의 측면은 그의 유명한 ‘일표이서’에 드러나 있다. ’일표이서‘란 <경세유표>,<흠흠신서>,<목민심서>를 말한다. <경세유표>는 제도적 모순과 그 개혁책을 논의하고 있고 <흠흠신서>는 당시의 부조리한 형법에 대한 비판과 바람직한 법에 대한 논의이고 <목민심서>는 공무원들의 부정에 대한 비판과 공무원의 좋은 행정을 위한 방법을 논의하고 이다.
그러나 <목민심서>는 <경세유표>와 <흠흠신서>와는 조금 성격이 다르다. 이 책에는 공무원의 신분에 있는 지식인의 자기 수양의 성격도 아울러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그의 실학사상이 직접적으로 구현되어 적용된 중요한 저술임을 우리는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만약 다산이 왜 주자와 다른 주석을 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분위기를 이해하려면 우리는 이 목민심서를 읽어봄으로써 그의 현실적 문제의식을 우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