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 ENGLISH
  • LOGIN
  • 사이트내검색
    사이트내 검색

    닫기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로고 이미지

닫기
통합검색
소장자료 검색
전자자료 검색

목민심서 / 정약용

컬렉션 머릿글

컬렉션 상세

이미지

[원서명] : 牧民心書
[저자(한자)] : 丁若鏞
[해제] 이 책에서 조선 실학의 집대성자인 정약용(1762 ~ 1836)이 공무원들이 반드시 마음에 아로새겨야 할 것들을 구체적인 공무원의 임무와 아울러 기술하고 있다. 다산은 지식인의 학문은 자신을 수양하는 것과 백성들을 잘 기르는 일로 구성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에게 있어 수신과 목민은 둘이 아니라 동전의 양면과도 같은 것이다. 왜냐하면 구체적인 지식인으로서의 ‘나’는 백성들을 편안하게 하기 위해 수양이 되어 있어야 하며 또 지식으로서 ‘나’의 수양은 오직 백성들을 편안하게 하는 것으로 실현되기 때문이다. 수신의 측면이 유가 경전들에 대한 그의 방대한 실학적 주석 속에 나타나 있다면 목민의 측면은 그의 유명한 ‘일표이서’에 드러나 있다. ’일표이서‘란 <경세유표>,<흠흠신서>,<목민심서>를 말한다. <경세유표>는 제도적 모순과 그 개혁책을 논의하고 있고 <흠흠신서>는 당시의 부조리한 형법에 대한 비판과 바람직한 법에 대한 논의이고 <목민심서>는 공무원들의 부정에 대한 비판과 공무원의 좋은 행정을 위한 방법을 논의하고 이다.
그러나 <목민심서>는 <경세유표>와 <흠흠신서>와는 조금 성격이 다르다. 이 책에는 공무원의 신분에 있는 지식인의 자기 수양의 성격도 아울러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그의 실학사상이 직접적으로 구현되어 적용된 중요한 저술임을 우리는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만약 다산이 왜 주자와 다른 주석을 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분위기를 이해하려면 우리는 이 목민심서를 읽어봄으로써 그의 현실적 문제의식을 우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검색항목
검색어

33건 중 33건 출력

1 - 10 다음페이지로

선택목록저장

선택목록저장
내보내기 형식을 선택하세요.
내보내기 범위를 선택하세요.

o RefWorks에서 이용 가능한 형식으로 반출합니다.

o EndNote에서 이용 가능한 형식으로 반출합니다.

Search Option
Service Form
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