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 소장자료, 온라인자료, 외부자료를 한번에 검색하여 유형별로 확인
소장자료 - 학술정보원에 소장된 인쇄자료와 직접 구축한 원문파일을 검색
전자자료 - 소장 인쇄자료, 온라인 전자자료를 한번에 검색
학술 데이터베이스나 저널, 학위논문, 멀티미디어 등을
가나다순 또는 주제별로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학생들의 학습과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학술정보원에서는 다양한 교육과
전공별 가이드, 연구 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업계획서에 수록된 교재와 참고문헌 등의
학술정보를 쉽게 검색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도서관 서비스 이용방법과 신청방법을 알려드립니다.
도서관 서비스 신청 양식을 한 곳에!
하나부터 열까지! 도서관 이용 방법을 확인하세요.
나에게 도움되는 도서관 서비스를 확인하세요.
도서관에서 구축하여 운영중인 다양한 온/오프라인
컬렉션을 확인해 보세요.
연세대학교 원주학술정보원 규정, 통계, 층별안내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서관 이용안내로도 해결이 안 된 문제는?
FAQ, 이메일 문의를 통해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신청 내역과 현황, 나의 개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서명] : 金剛三昧經論
[저자(한자)] : 元曉
[해제] <금강삼매경론>은 (金剛三昧經論) 금강삼매경(金剛三昧經)에 대하여 신라의 원효(617~686)가 저술한 주석서이자 그의 세계관을 반영한 대저술이다. <금강삼매경론>의 모태인 금강삼매경의 성격은 기본적으로 모든 불교 이론을 망라하여 종합하려는 의도를 갖는다. 그 경 안에는 대승의 공사상 및 유식사상이 깊게 깔려 있고 수행 이론으로 52위설로 대표되는 참선 수행과 재가 수행의 기본인 육도행을 고르게 안배하고 있다. 원효는 <금강사매경>의 종합 이론서로서의 성격에 착안하여 그 경전을 해설함으로써 자신의 고유한 회통사상을 본격적으로 펼칠 수 있었다. 이리하여 원효는 <금강삼매경>의 요지를 “일미관행”이라는 용어로 설명한다. 부처의 설법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난립되어 있는 상황에서 분파된 불교 이론을 하나의 맛으로 회통시키고 회통된 이론에 부합하는 실천 수행으로 낱낱으로 고립된 모든 중생들을 구제하려는 원효 일생의 과업이 <금강삼매경론>에서 “일미관행”이라는 용어로 표현되고 있는 것이다.
원효는 한국 불교 최고의 사상가인 동시에 최초의 사상가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금강삼매경론>에 대한 이해는 원효의 회통 사상의 성격에 대한 규명과 함께 한국 불교의 본래적 정신에 대한 이해를 동시에 수반한다.특히 소외된 민중의 삶과 더불어 자신의 사유와 실천의 지평을 넓혀 갔던 원효의 민중 교화승으로서의 면모가 <금강삼매경론>이라는 이론서 속에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 규명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금강삼매경론>에는 자각과 각타의 통일로서의 보살도에 대한 분명한 길이 제시되어 있기 때문이다.